2009년 9월 19일 토요일

윈도우 7 에서 동영상 재생시 하드웨어 가속 설정하기

 

윈도우 7 에서 동영상 재생시 하드웨어 가속 설정하기

 

비스타에서는 팟플레이어나 KMP로 고화질의 동영상 재생시 하드웨어 가속 설정으로 감상하기 위해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PowerDVD 의 코덱을 많이 이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7 에서는 내장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12 의 코덱이 상당히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고 있어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코덱을 설치할 필요없이 미디어 플레이어의 내장 코덱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가속 설정을 해보기로 하겠습니다. 단, 이 설정은 고사양의 시스템일 경우에 해당합니다.

 

운영체제 : 윈도우 7 (Windows 7)
동영상 재생기 : 다음 팟플레이어 (http://tvpot.daum.net/video/live/PotplayerSpec.do)


윈도우 7을 설치한 컴퓨터에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불러와서 "도움말 - Windows Media Player 정보" 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미디어 플레이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전은 사용자에 따라 다를수 있는데 저는 업데이트를 통해 버전이 12.0.7600.16415 로 표시 되고 있습니다.

 

이제 하드웨어 가속 설정을 위해 팟플레이어를 띄운후 키보드 상단의 F5 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기본 환경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상단의 탭 메뉴에서 재생을 누르고 들어가서 설정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재생 탭으로 들어간 다음 아래 빨간 박스에 보이는 코덱/필터 관리를 클릭하여 코덱/필터 설정 창을 띄웁니다.

 

코덱/필터 설정 창의 기본 설정 탭 메뉴로 들어가서 아래의 내장 영상 처리 필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에 체크하여 활성화 시킵니다. 내장 영상 처리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코덱을 사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설정을 마쳤으면 확인을 누르고 창을 닫습니다.

 

코덱/필터 설정 창으로 돌아와서 상단의 Splitter 메뉴로 들어가서 아래의 필터/코덱 관리를 클릭하여 설정 창을 띄웁니다.

 

코덱/필터 관리 창을 처음으로 띄우면 왼쪽의 코덱 목록은 아무것도 없는 공란입니다. 코덱을 추가시키기 위해서 오른쪽 아래의 검색해서 추가를 클릭하면 시스템에 설치된 코덱 항목들이 모두 코덱 목록에 나타나게 됩니다. 코덱 목록이 보이면 확인을 클릭하고 창을 닫습니다.

 

코덱/필터 설정 창으로 돌아와서 상단의 비디오 코덱으로 들어가서 아래 그림의 빨간 박스 처럼 미디어 플레이어의 코덱을 설정합니다.

 

비디오 코덱을 설정했으면 아래의 내장 코덱의 DXVA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 창을 띄웁니다.

 

하드웨어 가속 설정을 위해서 사용조건을 아래 그림처럼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하여 창을 닫습니다.

 

코덱/필터 설정 창으로 돌아가서 상단의 오디오 코덱을 클릭하고 내장 AC3/DTS/출력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 창을 띄웁니다.

 

오디오 코덱 설정 창이 뜨면 아래 그림처럼 원본 그대로 출력으로 설정합니다. 이렇게 원본 그대로 출력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원본이 가지고 있는 오디오가 왜곡되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다만 그래도 굳이 변경하여야겠다면 모노에서 부터 7.1채널 까지 다양한 출력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니 자신의 시스템과 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설정이 끝났으면 확인을 클릭하여 창을 닫습니다.

 

이제 다시 기본 환경 설정 창으로 돌아와서 마지막으로 필요한 설정인 영상 탭으로 들어갑니다. 오른쪽에 보면 영상 출력란의 출력 방식이 있는데 이 설정을 그림처럼 EVR로 설정하면 모든 설정이 완료됩니다. 확인을 클릭하고 창을 닫아주면 이제 하드웨어 가속 설정을 위한 준비는 완료 되었습니다.

 

제대로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고화질의 동영상을 재생하고 키보드의 Tap 키를 눌러주면 아래와 같은 재생 정보 창이 뜹니다. 출력 형식을 보면 NV12로 표시되는데 하드웨어 가속으로 재생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댓글 2개:

  1.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사용해보니 마지막 영상탭에서는 vmr9 renderless로 하는 게 낫더군요. 보다 안정적입니다.



    vmr과 vmr renderless에서는 영상이 느려진다던지 화면이 깨진다던지 하는 영상 파일이 있더라고요. 그때마다 바꿔주면 정상작동하지만 그러느니 그냥 vmr9 renderless로 놓아두는 게 편하네요.

    답글삭제
  2. @천재 - 2009/10/05 09:53
    사용자의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에 따라 설정이 조금씩 달라지겠죠. 딩연히 자신의 시스템과 가장 조합이 잘되는 설정이 좋을겁니다. 좋은 시간 되세요.

    답글삭제